
[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] 환경부(장관 한화진)는 26일 ‘더 나은 환경, 삶의 질은 높이고 성장동력은 키우겠습니다’라는 비전 아래 ‘환경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생활’이라는 주제로, 환경보건국의 환경보건 및 화학안전 분야 2023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.
이에 따르면, 올해 환경부는 국민이 체감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구현을 위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. 중점과제로는 ▲선제적 환경보건 관리 ▲적극적 피해구제 ▲더 안전한 화학제품 관리) 살생물물질에서 제품으로 승인대상 확대 ▲지속가능한 화학물질 관리 ▲든든한 화학사고 대비 등을 제시했다.
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,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소음 발생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, 환경소음측정망을 수동 측정망에서 사물인터넷(IoT) 기반의 자동측정망으로 교체해 분기별 1회 제공하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.
또한 환경·건강·사회·경제 분야의 데이터를 연계해 구축한 환경보건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, 관계부처, 지자체, 연구기관 등과 협업해 지리정보시스템(GIS) 기반의 환경유해요인과 건강영향 분석 시스템 구축을 추진한다.
건강영향조사 범위를 확대해 새롭게 시멘트공장, 교통밀집지역에 대해서도 실시하고, 환경오염피해가 심각한 지역에 대해서는 의료지원 등 환경보건서비스 지원도 추진한다.
살균제, 살충제 등 생활밀접형 제품에 사용되는 살생물물질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더해, 살생물제품에 대해서도 철저한 검증을 실시, 국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
이와 함께 반복해 발생하는 화학사고의 원인조사를 위해 3차원 모의(시뮬레이션) 기법 도입 등 과학적인 조사기반을 강화해 비슷한 원인의 화학사고 발생을 예방한다.
특히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위험을 근원적으로 줄이기 위해 화학물질의 제조 단계 이전부터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유해화학물질의 사용 저감을 유도하는 ‘녹색화학 종합계획’을 수립하고,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 위험을 보다 실효적으로 예방·관리하기 위해 화학안전제도 개편 방향을 제도화 한다.
환경부 관계자는 "앞으로도 환경유해인자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, 민감·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"이라고 말했다.